목록전체 글 (6)
월요팅
[문제]정수 배열 arr과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arr의 길이가 홀수라면 arr의 모든 짝수 인덱스 위치에 n을 더한 배열을, arr의 길이가 짝수라면 arr의 모든 홀수 인덱스 위치에 n을 더한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시행착오]이 몸... 이걸 어떻게 풀었는지 아는가def solution(arr, n): answer = [] if len(arr) % 2 == 0 : for i in arr: if i % 2 == 1: i = i + n answer.append(i) else: answer.append(i) ..
[문제] 문자열 my_string, overwrite_string과 정수 s가 주어집니다. 문자열 my_string의 인덱스 s부터 overwrite_string의 길이만큼을 문자열 overwrite_string으로 바꾼 문자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무슨 소리냐 이게....일단 글 이해하는 것부터 한참 걸림...이거 기초 문젠데 큰일났다 [시행착오]def solution(my_string, overwrite_string, s): length = len(overwrite_string) my_string = my_string - my_string[s:length+s] answer = my_string + overwrite_string return an..

진짜 쌩기초... 중에 자꾸 까먹는 것만 작성내용 계속 추가할 예정Format 함수숫자 대입"I eat {0} apples".format(3)→ 'I eat 3 apples'문자열 대입"I eat {0} apples".format("five")→ 'I eat five apples'변수 대입number = 3"I eat {0} apples".format(number)→ 'I eat 3 apples'#두 개 이상의 값을 넣을 경우 문자열의 {0}, {1}과 같은 인덱스 항목이 format 함수의 입력값으로 순서에 맞게 바뀜number = 10day = "three""I ate {0} apples. so I was sick for {1} days.".format(number, day)→ 'I ate 10 a..